- 뉴스
- 이민
- 교육
- 음악/동영상
- English
사진: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12일 오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단독회담을 하고 있다. 2018.6.12
사상 첫 대좌 북미정상 공동성명 채택..'한반도 평화만들기' 이정표
북미정상,워싱턴과 평양오가며 신뢰구축 가능성..CVID누락 아쉬움도
미국과 북한의 정상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한국전쟁 이후 처음으로 마주앉아 적대와 대결의 관계를 공존과 협력의 관계로 바꿀 위대한 첫걸음을 뗐다.
1948년 북한 정권 수립 이후 처음 마주한 북미 정상이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한 공동성명에 합의한 것이다.
작년 11월까지 북한은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이어가며 미국령인 괌에 대한 직접적인 포위 사격을 하겠다고 협박을 했고, 그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화염과 분노'를 거론하면서 강력 대응 의지를 밝혀 북미 대립이 절정에 달했던 것을 고려하면 말 그대로 급반전이다.
우선 이번 북미정상회담은 적대관계에 있는 양국의 최고지도자가 만나 상대방의 생각과 의중을 직접 들음으로써 신뢰의 기반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개최 자체에 적잖은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공동성명을 통해 앞으로 양국관계뿐 아니라 한반도 평화 만들기의 이정표를 세운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성명에는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등 북한과 미국의 대결관계를 변화시키기 위해 무엇을 해나갈 것인지에 대해 명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대북 체제안전보장의 하나로 "조만간 실제로 종전선언이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언급은 북한의 안보 우려 해소와 이를 위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노력이 당장 시작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인해 평화체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한반도뿐 아니라 지역사회에도 영향을 미치면서 자연스럽게 동북아시아 정세의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 과정에서 현재의 국제질서에도 적잖은 변화를 몰고 올 전망이다. 한반도에서 중국의 역할 변화가 예상되고, 군사동맹을 축으로 하는 한미일 협력체제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러시아가 어떻게 대응할지도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