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
- 이민
- 교육
- 음악/동영상
- English
장애인 인권 향상에 앞장섰던 故 스테이시 박 밀번
노스 캐롤라이나 훼잇빌 출신 한국계 미국인 장애인 인권 운동가 스테이시 박 밀번(1987~2020, 한국 이름 박지혜)이 미 화폐인 25센트 동전에 초상으로 얼굴이 새겨진다.
![]() |
내년 출시될 예정이다.
미 연방 조폐국은 미국 사회에 공헌한 여성 20명을 선정해 2022~2025년 발행되는 25센트 뒷면(앞면은 조지 워싱턴 초대 대통령)에 얼굴을 새겨 넣는다.
이 중 밀번이 ‘아메리칸 위민(American Women, 미 여성) 쿼터 프로그램’의 헌정 대상자로 지난해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미국 화폐에 한국계 인물이 등장하는 최초의 사례다.
밀번의 얼굴이 새겨진 동전은 총 5억개 이상 발행된다.
밀번은 주한미군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 서울에서 태어났다.
지체장애를 앓으면서도 장애인 인권 운동에 앞장서다가 2020년 5월 신장 수술 합병증으로 서른셋에 세상을 떠났다.
![]() |
‘아메리칸 위민 쿼터 프로그램’ 선정 인물들이 대부분 19~20세기에 활동하며 세계적 명성을 쌓은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밀번의 존재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지난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맞아 한국의 한 일간지가 노스 캐롤라이나 훼잇빌에 거주하는 어머니(진 밀번)와 아버지(조엘 밀번)을 인터뷰하였다. 부모는 인터뷰를 통해 딸을 회고했다.
어머니 진 밀번은 2년 전 연방 조폐국에서 연락받던 순간을 또렷이 기억한다고 했다.
“25센트 동전 뒷면에 새길 여성 인물 후보로 (딸을) 추천했는데 동의해줄 수 있겠느냐는 거예요. 처음엔 ‘가짜 뉴스’인 줄 알았습니다.”
딸은1987년 5월 용산 기지 내 121 미군 병원에서 태아가 거꾸로 들어서 있다고 해 제왕절개로 얻은 첫딸이었다.
![]() |
태어난 후 팔다리에 유난히 힘이 없던 아기가 5만명 중 한 명꼴로 걸리는 근육 퇴행성 질환(선천성 근이영양증)을 앓고 있다는 의사의 말을 들었다.
이후 어머니는 18년 동안 딸을 자전거나 휠체어에 태워 통학시켰다.
어머니는 “힘들었지만 아이의 미소를 볼 때마다 기운이 솟아났다”고 했다. “제 아빠를 닮아서 자기 생각을 조리 있게 말했죠. 글로 생각을 풀어 쓰는 솜씨가 뛰어났어요.”
부모는 아이가 혹시라도 남들과 다른 처지에 주눅 들까 염려해 늘 성경 구절을 인용한 말로 용기를 북돋워줬다.
“하나님께서 너를 만들어 엄마 배 속을 통해 세상에 보내주신 건 뜻하신 바가 있어서란다. 이 얼마나 놀랍고 신비한 일이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