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
- 이민
- 교육
- 음악/동영상
- English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전쟁'에서 104%의 핵폭탄급 관세를 맞은 중국이 장기전을 벼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들(중국)의 전화를 기다리고 있다"며 협상을 종용했지만, 중국은 또다시 미국에 '맞불 관세 84%'로 응수하며 "저자세 협상은 없다"는 뜻을 확고히 했다.
49월 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행정명령이 정식 발효되면서 대(對)중국 관세는 총 104%가 됐다. 지난 2, 3월에 10%씩 부과한 데 이어 상호관세 34%가 더해졌고, 중국이 '맞불 관세'를 부과하며 보복하자 다시 50%가 추가됐기 때문이다. 관세 발효 약 7시간 뒤 중국은 "4월 10일 낮 12시 1분부터 미국산 공산품에 대한 관세를 34%에서 84%로 조정한다"고 발표하며 다시 한번 맞불을 놨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을 종용하지만 중국은 끌려가지 않겠다는 태도다. 이날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주변공작회의에 참석한 시진핑 국가주석은 "주변국과 운명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세 폭탄을 맞은 다른 나라들과 공동의 대미 전선을 구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정부 발표, 언론, 사회관계망서비스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중국은 미국을 끝까지 상대할 것이며, 충분한 방어 수단이 있다"는 메시지를 전방위로 발신했다. 장기전에 대비하기 위해 벌써부터 내부 결속 수순에 들어간 모양새다.
관세 발효 30분 만에 관영 인민일보는 사설을 통해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잘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라는 시 주석의 과거 발언을 조명했다. 관세 쇼크에 동요하지 말고 묵묵히 제 할 일을 해나가자는 대응 기조를 대내외에 전파한 것이다. 상무부와 외교부는 기자회견에서 앞다퉈 미국의 관세 조치를 비판하며 대화를 촉구했고, 국무원 정보판공실은 트럼프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는 백서를 발간했다. 각종 매체는 전문가와 외신을 인용해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중국의 대응이 적절했다는 의견을 부각했다.
미중 간 맷집 싸움이라면 중국에 더 승산이 있다는 견해도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8일 중국의 통제적인 정치 시스템이 트럼프와의 무역 전쟁에서 오히려 유리한 조건을 조성할 수 있다고 짚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중국 학자는 "중국은 국가 차원에서 사회를 통제할 수 있는 권한과 수단이 더 많고, 심지어 기업에 직접 명령을 내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관세 전쟁에 따른 경제적 혼란에 미국인들은 불만을 표출하고 있지만, 중국인들은 그렇지 않을 공산이 크고 정부와 민간이 일사불란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실제 전날부터 ①중국 중앙은행 등 국가대표급 금융 유관 기관들은 자본시장 보호 정책을 쏟아냈다. 동시에 ②국유투자사와 사회보장기금 관계 단체들은 공격적으로 중국 주식을 대량 매수해 증시를 떠받쳤다. ③금융권 유력 인사들은 정책 지지 의사를 일사불란하게 표명했다. 뤄즈헝 광둥증권 수석경제학자는 "정부와 시장이 공동 세력을 형성했다"고 표현했다. 9일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급락했지만 중국 주요 증시는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다.
물론 관세 전쟁이 돌파구를 못 찾고 장기화할 경우 중국도 심각한 내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영국 리서치회사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이번에 발효된 관세 수준이 유지될 경우 향후 수년 내 중국의 대미 수출량은 절반 이상 줄어들 것이라 분석했다. 스인훙 런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경기 침체와 높은 실업률로 중국의 내부적 단결은 그다지 견고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 | |